조선미의 초등생활 상담소 : 좌절내구력 강한 아이로 키우는
조선미 저 | 북하우스 | 2024년 01월 23일
밑줄긋기
* 사회성이란 한마디로 말하면 '상대의 감정을 공감하고 입장을 이해하는 능력'입니다. 그래서 모든 사람한테 똑같은 태도를 보이는 건 오히려 사회성이 미숙하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건강이 나빠진 사람이 있는데 자기 얘기만 한다든가 상대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지 않으면 사회성이 좋다고 말하긴 힘들겠죠.
* 자존감은 '스스로를 존중하는 마음'입니다. 누가 나를 평가해주는 게 아니라 스스로 '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야. '나는 괜찮은 사람이야'라고 느끼는 마음입니다. 이런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시선이나 평가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. 실패하더라도, 남에게 비난받더라도 이것이 한때의 경험일 뿐 근본적인 자신의 가치를 떨어뜨린다고 여기 지 않는 것입니다. 자존감이 일종의 완충 작용을 해줘 현실에서 일어나는 여러 일을 비교적 수월하게 받아들이고 다시 노력할 수 있게 해주는 거죠.
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이고, 자기 능력을 신뢰하며, 열심히 노력하고, 자신을 사랑합니다. 또 나를 존중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도 똑같이 존중합니다
* 자존감과 혼동할 수 있는 또하나의 개념은 자기애입니다.
"나는 존중받을 만해. 그러니까 너도 존중받을 만해." 이게 자존감입니다.
"나는 존중받을 만해. 그런데 너는 아니야." 이건 '자기애'입니다
읽 다